“만트라(Mantra)
종을 치며 잦아드는 소리를 듣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문장을 마음속으로 읽습니다.


*만트라(Mantra)**는 산스크리트어로, 기본적으로는 ‘마음(Manas)’ + ‘도구(Tra)’, 즉 마음을 다스리는 도구라는 뜻이에요.
만트라는 특정 소리, 단어, 구절을 반복하여
• 마음을 집중시키고
• 의식을 맑게 하며
• 정신적인 에너지를 높이는
도구로 사용되는 말이에요.
뇌에 작용하여. . .
1. 전전두엽 피질 (Prefrontal Cortex)
• 집중, 주의력, 의사결정과 관련된 부위로, 만트라를 반복하면서 집중을 유지할 때 활성화됩니다.
2. 대상회 (Cingulate Cortex)
• 감정 조절과 자기통제에 관여하는 영역으로, 명상과 만트라 수행 중에 자주 활성됩니다. 특히 전측 대상회(Anterior Cingulate Cortex)는 주의 전환과 감정적 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측두엽 (Temporal Lobe)
• 언어와 청각 정보를 처리하는 영역으로, 만트라를 듣거나 말할 때 활성화됩니다. 특히 만트라를 소리 내어 외울 경우 더 많이 작용합니다.
4. 기저핵 (Basal Ganglia)
• 반복적인 행동과 습관 형성에 관여하며, 만트라의 리듬 있는 반복이 이 부위를 자극해 안정감과 일관된 리듬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5. 측좌핵 (Nucleus Accumbens) 및 도파민계
• 보상 시스템과 관련된 부분으로, 만트라 수행이 긍정적인 감정이나 평온함을 유발할 때 활성화됩니다.
6. **기본모드 네트워크 (Default Mode Network, DMN)**의 감소
• DMN은 멍 때릴 때나 자기 중심적인 사고를 할 때 활성되는데, 만트라 수행 시 이 네트워크가 비활성화되어 마음의 “잡념”이 줄어들고 현재에 더 집중하게 만듭니다.
요약하자면, 만트라는 집중력, 감정 조절, 평온함, 의식적인 인식을 담당하는 뇌 부위들을 활성화시키며, 동시에 잡념을 유발하는 뇌 회로는 억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