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도쿄 메구로] 화려함의 끝, 예술의 복도 – 호텔 가조엔 '백단계단(하쿠단카이단)’

takji74 2025. 4. 24. 23:53

가조엔호텔 백단계단



화려하면서도 품격 있는 공간, 전통과 현대가 우아하게 공존하는 곳.
**호텔 가조엔 도쿄(Hotel Gajoen Tokyo)**는 단순한 숙박을 넘어 ‘예술 그 자체’를 경험하는 공간이에요.

우리나라 옻칠작가 전용복 선생의 작품이다. 엘리베이터의 안과밖을 제작했다.


‘백단계단’이라는 이름이지만 실제로는 총 99개의 계단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계단을 따라 7개의 전통 연회장이 층층이 연결되어 있어요.

각 연회장은 계절, 풍경, 전통문화를 주제로 각기 다른 장식과 천장화를 품고 있어서,
단순히 계단을 오르는 것이 아니라 예술작품을 따라 걷는 기분이 들어요.

(입장 정보 및 참고 사항)
-시내투어에 입장티켓이 포함된 것도 있음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예매 가능
-현장 구매도 가능할 수 있지만,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방문 전 확인을 추천드립니다.

지브리 영화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 명>에서
나온 연회장의 모티브인 국보급호텔 가조 엔 도쿄에 도착하였다.
100년 역사의 도쿄지정 유형문화재 호텔
이라한다.

가조엔호텔을 일본의 신라호텔이라 불리는 이유
• 위치: 도쿄 메구로구 시모메구로 (Meguro Station 도보 약 5분)
• 특징:
• 전통 혼례식 명소로 일본 유명 인사들의 결혼식이 자주 열리는 곳
• ‘하쿠호우칸(百段階段)’이라는 등록문화재 건축물 보유
• 모든 층이 예술관처럼 구성되어 있음
• 일본식 정원과 폭포, 대나무 숲이 호텔 내부에 펼쳐져 있음
• 투숙 외에도 전시회, 티타임, 결혼식 방문객들이 많음

일본 현지인들 사이에서는 “결혼식은 가조엔에서 하는 것이 로망”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
우리나라의 신라호텔, 워커힐에 해당하는 격조 높은 전통미와 현대적 럭셔리를 동시에 갖춘 공간입니다.

• 과거 VIP 귀빈실이었던 공간이 지금은 차와 디저트를 즐기는 라운지로 운영 중
• 붉은 벨벳 카펫과 천장의 동양화, 목조 천장 구조까지
• 창문 밖으로는 일본 정원, 대나무 숲, 폭포가 조용히 흐르고 있어
마치 영화 속 한 장면처럼 차를 마시는 경험을 선사합니다.

일본식 전통차뿐만 아니라 커피, 디저트도 함께 즐길 수 있어, 투숙객 외 방문자들도 카페로 자주 방문해요.

https://maps.app.goo.gl/DmSeooELV1ivqLk5A?g_st=com.google.maps.preview.copy

호텔 가조엔 도쿄 · Meguro City, Tokyo

www.google.com

https://maps.app.goo.gl/ZVVghZGCmDwqU4Eq9?g_st=com.google.maps.preview.copy

One Hundred Steps Staircase · Meguro City, Tokyo

www.google.com

#호텔가조엔 #백단계단 #도쿄가조엔 #하쿠단카이단 #일본전통미술 #가조엔호텔 #도쿄예술공간 #예술계단 #도쿄핫플 #MeguroGajoen #HotelGajoenTokyo #HyakudanKaidan

백단계단”은 왜 99단일까?

옛날 일본에서는 숫자가 많은 것을 ‘백’이나 ‘천’으로 표현하며 길하고 상서로운 의미로 여겼습니다. 이 계단은 실제로는 99단이지만, 길한 숫자의 상징으로 ‘백단계단’이라 불립니다.

핵심은 “縁起担ぎ(엔기타즈기)” – 길조를 중시하는 풍습 때문입니다.

① “99는 홀수로, 길조의 숫자이기 때문”이라는 설

예부터 홀수는 길한 숫자라고 여겼습니다. 예:
• 1월 7일: 인간의 날
• 3월 3일: 히나마츠리 (인형절)
• 5월 5일: 어린이날
• 7월 7일: 칠석
• 9월 9일: 중양절

이처럼 홀수는 일본 전통에서 ‘좋은 징조’를 의미하며, 그 중에서도 가장 큰 두 홀수 9와 9를 더한 99는 특별한 의미를 지닙니다.

② “완전한 숫자 100에서 1을 뺀 99는 가능성을 상징한다”는 설

100은 완성, 끝을 의미하기 때문에 오히려 변화나 발전이 없는 정체 상태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그에 반해 99는 아직 완성되지 않은 숫자로, 성장을 위한 여지와 가능성, 미래를 위한 문을 남겨두는 숫자로 받아들여졌습니다.

즉, 99단으로 끝나는 이유는 전통적 의미와 철학을 담은 ‘불완전의 미학’과 ‘길조’의 상징성을 반영한 것이에요.